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(1) 썸네일형 리스트형 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일반적으로 고려 불교는 한국 불교사에서의 최대 변혁기에 해당한다고 언급되고 있다. 이와 같은 일반적 인식은 이 시기의 불교가 한국 불교 사상사에서 중세 불교에 해당한다는 점에 근거하고 있다. 고려 불교는 이전과 달리 교종과 선종의 조화 문제를 새로운 과제로 하였고, 그 영향이 현대 한국 불교에서도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, 다시 말하면 한국 불교의 방향을 결정지었다는 점에서 이러한 일반적 인식은 정당한 것이라 할 수 있다.001. 교선논쟁/유흔우 002. 돈점논쟁/이효걸 003. 유불논쟁/박경환 004. 태극논쟁/김교빈 005. 주리주기논쟁/조남호 006. 사칠리기 논쟁/전호근 007. 인심도심 논쟁/권인호 008. 인물성동이 논쟁/김형찬 009. 서학논쟁/김형찬 010. 심설논쟁/이상호 011. 현대한국.. 이전 1 다음